겨울, 내란, 그 기록들: 2025년 2월, 위기 (@ 광화문)

서부지법 난동 이후, 광장 주변에서 느껴지는 ‘역진’의 분위기는 더 심각해졌다. 미디어 상의 보도뿐 아니라 체감되는 것 또한 그랬다는 것이다. 최소한의 양식이 있다면 법원에 난입해 폭동을 일으킨 사건에 놀라 조금이라도 주춤하는 모양새가 있어야 했겠지만(그리고 내 상식으로는 ‘그럴 거다’라고 예상했지만) 극우는 달리 극우인 게 아니었다. 오히려 이를 계기로 폭력적 분위기가 더 심해졌다고 볼 수 있다.
설 연휴가 지나고 첫 토요일이 2월 1일이었다. 이전에도 광화문 앞 비상행동 집회 주변을 오가며 시비 거는 윤 지지자들이 더러 있었지만, 이처럼 떼로 몰려와 집회를 방해하는 모습을 내가 보게 된 건 이날이 처음이었다. 족히 백여 명은 될 듯한 군중은 모두 성조기를 들고 있었고, 입을 모아 “천안문!”을 외치고 있었다. 윤석열 탄핵을 촉구하는 시민들을 중국 공산당과 연계된 무언가라고 생각하는, 뭐 그런 그들만의 세계관에서 비롯된 구호였겠지.

그 무리에는 젊은 남성으로 보이는 이가 상당히 많이 끼어 있었다. 그들 중 일부는 탄핵 촉구 시민들의 얼굴을 촬영하거나 조롱하고 있었고, 물론 나도 그들의 타깃 중 하나였으며, 놀랍게도, 집회를 관리해야 할 경찰들은 아무것도 안 하고 있었다. 서부지법 사태가 불과 보름 전이었는데도. 거칠게 항의하고 나서야 경찰들은 조금씩 움직여 양측 사이를 벌려 놓기 시작했고, 그렇게 되고서야 행진하는 기수들에게로 시선을 돌릴 수 있었다.
2025년의 입춘은 그런 상황에서 맞아야 했다. 탄핵 심판 변론은 화요일과 목요일마다 열렸다. 구속 기소된 윤석열은 헌법재판소에 출석해 괴상한 변명을 늘어놓았고, 국민의힘과 극우 인사들은 그 발언에 뻔뻔함을 한 스푼 더 보태 확대 재생산했다. 그리고 그런 생각에 동조하는 일부 언론이 그 스피커가 됐다. 그런 가운데 헌재에 테러를 일으키자는 주장을 하는 작자도 여럿 나왔다. 대체로 특정 온라인 커뮤니티가 그 진앙이 되었다.
그러나 저러나, 아무튼 겨울은 지나가고 있었다. 2월 25일. 박근혜 탄핵 전까지는 늘 새 대통령이 취임하는 날이었던 그날, 윤석열 탄핵 심판의 최종 변론 기일이 진행됐다. 그 자리에서 그는 ‘간첩’만 25번 언급하고 서부지법 난동의 폭도들에게만 사과 비슷한 말을 했으며 물론 당연하게도(?) 위헌·불법 비상계엄으로 인해 고통을 받은 시민에게는 사과, 유감, 뭐 그런 비슷한 것조차 없었다.
이때만 해도 이것이 마지막 고비일 거라고 생각했었기에, 에휴, 그래, 어차피 곧 파면될 건데 마지막으로 떠들어봐라 어디, 약간 이런 심정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그러나 열흘쯤 뒤, 그것이 큰 오산이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사건이 일어나고 만다. 절기상으론 봄이되, 결코 봄이라고 할 수 없는 날이었다. 그럼에도 이 시기를 견뎌내고 3월로 나아갈 수 있었던 것은 물론 무명의 ‘동지’들 덕분이었다. 2월 15일, 명동 세종호텔 앞에서 외쳤던 “고진수 힘내라!” 함성은, 우리가 결코 만만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