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불명의 복선

알 수 없는 문제가 발생했을지도 모릅니다

12-40pro

겨울, 내란, 그 기록들: 2025년 1월, 전개 (@ 한남동, 광화문)

탄핵소추안이 두 번의 표결 끝에 가결됐고 물론 그 순간에는 매우 기뻤지만, 해결된 것은 사실 아무것도 없었다. 계엄령이 다시 떨어질 가능성이 매우 낮아졌다는 점 정도 말고는 그다지 위안이 될 일도 없었다. 여전히 내란의 동조자들이 정권을 잡고 있었고, 연루된 사람 그 누구도…

겨울, 내란, 그 기록들: 2024년 12월, 시작 (@ 여의도, 광화문)

오랜만에 걸려온 친구의 전화가 반가워 한참을 떠들고 있었다. 귓가에 대고 있던 휴대폰이 중간중간 부웅 부웅 울렸지만, 무슨 “공항 도착했어요~ 라인 아이디 모시깽이인데 연락해줘요~” 이딴 스팸 문자나 되겠거니, 그런 생각으로 그냥 넘기고 있었다. 다른 친구가 긴급하게 전한 그 메시지를 확인한 것은…

아직은 낯선 길, 생각보다 가까운 길, 탕춘대성을 찾아서 @서울 홍지문, 탕춘대성

나만 그런 것인지는 알 수 없는 일이지만, 보통 네 글자로 된 한자어가 있으면 둘+둘로 끊어 읽는 것이 왠지 모르게 자연스럽다. 사자성어에 익숙해져 있다면 대체로 그런 느낌이 드는 게 아닐까? 이를테면 ‘사면초가’는 사면+초가로 구성된 말이니까 둘+둘로 생각하는 것이 맞다. ‘조삼모사’나 ‘삼한사온’…

경계 안에서 경계를 넘다 말다 @강릉 정동진

열차가 터널을 통과하자 세상의 명도가 한 단계 올라간 듯했다. 아니, 어두운 굴 속에 있다 나왔으니까 그렇게 보일 수도 있었겠지. 아니, 그게 아니다. 구름으로 가득했던 하늘에 갑자기 구멍이 숭숭 뚫리고, 좀 전까지 차창에 부딪히던 빗방울이 더는 보이지 않았다. 기분 탓일까, 뿌옇던…

봄꽃, 기후 위기, 설레발, 조급증, 김칫국 @창덕궁

인정해야겠다. 내가 성급했던 게 맞다. 2월의 이상고온으로 꽃 피는 시기가 한참 당겨질 거라고 생각했던 것은 큰 오산이었다. 지난해 3월 10일의 기억이 너무 강렬했던 나머지 그전까지의 사례를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고 있던 것도 맞다. 건방지게도 3월 둘째 주말에 서울 청계천 매화거리에 가서는…

뭘 했다고 또 연말 v.2023 (올해의 사진 13선)

이게 사람이 나이를 먹어서 그런가, 아니면 기후 위기를 넘어선 기후 파탄으로 인해 날씨가 지나치게 오락가락해서 그런가, 자꾸 날짜 감각이 없어진다. 옛날에도 삼한사온이라는 게 있긴 했지만 이 정도는 아니었던 것 같다. 분명 며칠 전까지는 코트만 입어도 조금만 걸으면 땀이 났는데 갑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