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불명의 복선

알 수 없는 문제가 발생했을지도 모릅니다

사진 기계 다루는 이야기

레이트어답터의 E-m1mk2 첫인상. /w 조카

2020.08.02.

저도 지금쯤은 조카 한둘 있어도 이상하지 않은데 말이에요. – 루실리카 레보스카야

하루하루 정신없이 보내다 보면, 어느새 한 달이 지나고 한 해가 지나고 나이도 더 먹고 그러곤 한다. 내 생각에는 내가 벌써 이 정도 나이를 먹는 것은 아무래도 시기상조인 것 같고 내적으로 합의가 된 것 같지도 않은데, ‘우리를 피할 수 없는 죽음으로 서서히 인도하는 거부할 수 없는 시간의 흐름’의 일방통행, 날치기, 독주는 그칠 줄을 모른다. 내가 어디서 뭘 어떻게 하든 지구의 시간은 (거의) 일정한 속도로 흐를 것이고, 그것은 되돌릴 수 없을 것이다.

인간의 생애가 참 짧고 별것도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은 대충 서른을 넘어설 무렵이었다. 나는 뭐 하루하루 정신없이 ‘오늘’을 ‘버텨내는 것’에 전력을 다하느라 다른 데 신경도 쓰지 못하고 있던 때, 중학생 고등학생 때 천둥벌거숭이마냥 말장난이나 주고받던 친구들은 결혼을 하더니 아이를 낳고 그 아이 사진을 카카오톡 프로필에 올려두는 것이었다. 하기사 내 ‘현재 나이’가 내가 태어날 당시의 모부 나이를 넘어선 지도 꽤 되었으니, 아무래도 이른바 ‘정상’이라고들 여기는 규범에서 벗어난 쪽은 내 쪽인 것 같다. 하지만 나는 자신이 없단 말이에요.

그런데 어쩌다 보니, 조카가 생겼다. 이름은 ‘쁘쁘’라고 한다. ‘예쁘다, 예쁘다’에서 따왔다고 한다. 생긴 거나 생태는 동생이나 나와는 조금 다르지만, 그게 그리 중요한 것 같지는 않다. 그냥 가족이라고 여기면 가족인 것 아닐까? 허면 가족이란 무엇이냐? 무릇 가족은… 어… 뭐지…? 언어가 상상력을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이라 하겠다.

2020.08.02. 쁘쁘.

가족 행사가 있어 동생네에 들렀다. 명분이야 ‘가족 행사’지만 사실 본심은 쁘쁘랑 놀기, 쁘쁘 사진 찍기, 쁘쁘 쓰다듬기가 우선이었다. 최근에 큰맘 먹고 중고로 산 E-m1mk2의 성능을 시험해 볼 좋은 기회이기도 했다.

E-m1mk2는, 비록 출시된 지 4년이 지났고 최근 후속작 E-m1mk3가 등장해 빛이 바랜 감이 있지만, 그냥 그 자체로만 놓고 봤을 때 E-m1에 비해 거의 모든 면에서 몇 박자 빨라졌다. 버튼이나 다이얼을 조작하면 반응하는 속도가 빨라졌고, 다시보기 중 사진을 넘기는 것도 빠릿빠릿해졌다. 물론 가장 감동적이었던 것은 AF 성능이었는데, 동체추적 기능이 실용 가능한 영역으로 들어온 것이 가장 크다. E-m1에선 동체추적은 이름뿐이고 사실상 AF-S 기능만 쓸 만했던 것과 비교하면 천지개벽 수준.

그래도 운이 좋으면 이런 것도 찍을 수 있었다. 경인아라뱃길 인천터미널 인근에서 여행객들이 갈매기에게 새우깡을 건네고 있다. 2020.06.07.

 

E-m1mk2로 찍은 사진. 뻥튀기 조각을 물고 날아가는 참새. 2020.07.11.

위상차 측거점 분포만 봐도 차이가 크다. E-m1은 화면 가운데에만 위상차 측거점이 있어서, 피사체를 이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 E-m1mk2부터는 거의 전 영역에 위상차 측거점이 분포하기 때문에, 어쨌든 프레임 안에만 넣으면 된다. 게다가 피사체가 프레임을 벗어나지 않는다면 반셔터를 잡고 있는 동안에는 웬만해선 이를 놓치지 않는다. 물론 피사체가 지나치게 격렬하게 움직인다거나 중간에 뭐가 끼어든다거나 하면 역시 헤매곤 하지만, 사실상 ‘동체추적’이라 불러선 안 될 것 같은 성능이었던 E-m1과는 비교 자체가 어렵다. 또 피사체를 찾아내는 첫 검출이 매우 빨라졌다. E-m1은 “…삐빅!”이었다면 E-m1mk2는 반셔터를 누르자마자 “삐빅!” 소리를 낸다.

E-m1 쓰던 때에는 상술한 성능 부족 때문에 AF-C나 동체추적 기능을 거의 쓰지 않았다. 움직이는 대상을 찍으려면 AF-S 모드에서 반셔터를 여러 번 끊어 잡는 식으로 대처해야 했고, 당연히 과정도 결과물도 불만족이었다. E-m1mk2로는 그럴 필요가 없다. 그냥 한 번 반셔터를 잡으면 그대로 쭉 초점이 대상의 움직임을 따라간다. 그럼 나는 적당한 장면을 잡아 찍기만 하면 된다. E-m1mk3에서는 동체추적 성능이 훨씬 개선됐다는데, 과연 어느 정도일지.

이날은 쁘쁘가 격렬하게 움직인 것은 아니어서 사실 E-m1으로도 찍으려면 얼마든지 찍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촬영 과정이 훨씬 편했던 것은 부인할 수 없다.

2020.08.02. 물고기 모양 장난감을 물고 가는 쁘쁘.

 

2020.08.02. 물고기 장난감을 잡으러 가는 쁘쁘.

 

2020.08.02. 산책 나선 쁘쁘.

Dxomark의 평가에 따르면 E-m1mk2에서 고감도 성능이 매우 향상됐다고 하는데, 아직 이 부분은 충분히 테스트해보진 못했다. ISO 3200에서도 비교적 깨끗한 편인 것을 보면 향상이 되긴 된 모양이다. 원래도 독보적이었던 손떨림보정 기능은 더 좋아진 듯하다. 12mm 광각에서 1초 정도는 충분히 버티는 것 같다. 손떨림에 대한 감각 같은 것이 사라질 정도의 성능이다. 저속셔터? 그냥 손으로 들고 누르면 된다. 자세만 안정적이면 그다지 흔들릴 일이 없다.

2020.08.03. 폭우로 물이 불어난 서울 불광천.

 

2020.08.03. 폭우로 물이 불어난 서울 불광천.

그러나 카메라만 좋으면 뭐 할 것인가? 사진을 찍어야지. 비가 너무 많이 와서 걱정이다. 그런데 앞으로 한 주 정도는 더 올 거라고 한다. 기후가 완전히 맛이 간 것 같다.

@Boktheseon

LEAVE A RESPONSE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